imgusdn
html 태그 본문
제목을 나타내는 <hn>
<h>는 제목을 뜻하는 heading을 줄인 말로
n의 자리에는 1~6의 숫자가 들어가며 제목 텍스트를 크기별로 표시할 수 있다.
<h1>이 가장 큰 제목이고 <h2>,<h3> ... <h6>의 순서로 크기가 작아진다. 닫는 태그인 </hn>을 반드시 사용해야 한다.
<font>
<font> 태그는 텍스트의 폰트(font), 색상 그리고 크기를 정의할 때 사용한다.
html5에서는 더이상 지원하지 않으며, 대신 css를 사용해야한다.
<br>
텍스트 내의 줄바꿈(line-break)를 정의할 때 사용한다.
HTML 소스 코드 내에서는 엔터(Enter)를 사용하여 줄바꿈을 실시하여도 브라우저 화면에 실제로 적용되지는 않는다.
따라서 <br>요소는 주소(address)나 시(poem)등 줄바꿈이 중요한 텍스트에 유용하게 사용된다.
<br>요소는 빈 태그(empty)로, 종료태그가 존재하지 않는다.
<a>
하나의 페이지에서 다른 페이지를 연결할 때 사용하는 하이퍼링크(hyperlink)를 정의할 때 사용한다.
가장 중요한 속성은 링크(link)의 목적지를 가리키는 href 속성이다.
href 속성이 없다면, target, download, rel, rev, hreflang, type, referrerpolicy 속성들도 사용할 수 없다.
<img>
HTML 문서에서 이미지(image)를 정의할 때 사용한다.
<img> 요소로 정의된 이미지는 HTML 문서에 직접 삽입되는 것이 아니라, HTML 문서에 이미지가 링크되는 형태이다.
즉, <img> 요소는 이렇게 참조된 이미지를 위한 일종의 수용 공간을 만들어 주는 것이다.
<img>요소에는 src 속성과 alt 속성을 반드시 명시해야만 한다.
<table>
데이터를 포함하는 셀(cell)들의 행과 열로 구성된 2차원 테이블을 정의할 때 사용한다.
이러한 테이블은 <table> 요소와 자식 요소인 하나 이상의<tr>, <th>, <td> 요소들로 구성된다.
<tr>요소는 테이블의 각 행(row)을 정의하고, <th>요소는 각 열의 제목을 정의한다.
또한, <td>요소는 하나의 테이블 셀(cell)을 정의한다.
<iframe>
인라인 프레임(inline frame)을 정의할 때 사용한다.
인라인 프레임은 현재 HTML 문서에 다른 문서를 포함시킬 때 사용한다.
<iframe>요소의 시작 태그와 종료 태그 사이에는 <iframe>요소를 지원하지 않는 브라우저를 위한 텍스트를 포함할 수 있다.
<form>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받을 수 있는 HTML입력 폼(form)을 정의할 때 사용한다.
<form>요소는 다음과 같은 요소들을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button>
<fieldset>
<input>
<label>
<option>
<optgroup>
<select>
<textarea>
<input>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받을 수 있는 입력 필드(input filed>를 정의할 때 사용한다.
<input> 요소는 사용자가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는 입력 필드를 선언하기 위해 <form>요소 내부에서 사용된다.
이러한 입력 필드는 <input> 요소의 type 속성값을 달리함으로써 여러 가지 모양으로 나타낼 수 있다.
<input> 요소는 빈태그(empty tag)이며, 속성만을 포함하고 있다.
<label> 요소를 사용하면 <input>요소의 라벨(label)을 정의할 수도 있다.
<select>
옵션 메뉴를 제공하는 드롭다운 리스트(drop-down list)를 정의할 때 사용한다.
<select>요소 내부의 <option> 요소는 드롭다운 리스트에서 사용되는 각각의 옵션을 정의한다.
이러한 <select>요소는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받기 위한 폼(form)에 사용될 수 있다.
<textarea>
사용자가 여러 줄의 텍스트를 입력할 수 있는 텍스트 입력 영역을 정의할 때 사용한다.
텍스트 입력 영역에는 개수의 제한 없이 문자를 입력할 수 있으며, 입력된 문자는 고정폭 글꼴로 렌더링된다.
텍스트 입력 영역의 크기는<textarea>요소의 cols속성과 rows속성으로 지정할 수 있으며,
CSS에서 height속성과 width속성을 사용하면 더욱 손쉽게 지정할 수 있다.
'HTML,CSS,JS' 카테고리의 다른 글
Server-Side와 Client-Side (0) | 2023.03.15 |
---|---|
js 내장함수 (0) | 2023.03.13 |
HTML CSS JS 실습 (0) | 2023.03.13 |
html 문서의 기본 구조 (2) | 2023.02.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