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gusdn
리눅스의 파일과 디렉터리 본문
파일의 종류
파일
- 관련 있는 정보들의 집합
- 리눅스는 파일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디렉터리를 사용
- 파일 시스템 : 디렉터리와 파일로 구성된 전체 집합
- 리눅스에서 파일은 사용 목적에 따라 일반 파일, 디렉터리, 심볼릭 링크, 장치 파일로 구분
일반파일
-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 주로 사용
- 리눅스에서 사용하는 대부분의 파일은 일반 파일에 해당
- 바이너리 파일 : 실행 파일이나 이미지 파일의 경우 바이너리 형태로 데이터가 저장되어 사용
디렉터리
- 리눅스에서는 디렉터리도 파일로 취급
- 디렉터리 파일에는 해당 디렉터리에 저장된 파일이나 하위 디렉터리에 대한 정보가 저장
심볼릭 링크
- 원본 파일을 대신하여 다른 이름으로 파일명을 지정한 것(윈도의 바로 가기와 유사)
장치 파일
- 리눅스 시스템에 부착된 장치들을 관리하기 위한 특수 파일 ex) 하드디스크나 키보드 같은 각종 장치
파일의 종류를 확인하는 file 명령
[user1@localhost ~]$ file .bash_profile
.bash_profile: ASCII text
[user1@localhost ~]$ file 다운로드
다운로드: directory
[user1@localhost ~]$ file /usr/bin/pigz
/usr/bin/pigz: ELF 64-bit LSB executable, x86-64, version 1 (SYSV),
(생략)
디렉터리의 계층 구조
트리 구조
- 리눅스에서 파일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디렉터리를 계층적으로 구성
- 모든 디렉터리의 출발점은 루트(root, 뿌리) 디렉터리이며, 빗금(/, 슬래시)으로 표시
- 그림으로 나타낼 때 루트 디렉터리가 맨 위에서 출발
루트 디렉터리와 서브 디렉터리
- 서브 디렉터리(하위 디렉터리) : 최상단 루트 디렉터리(/) 아래의 디렉터리 (etc, usr, home, tmp)
- 부모 디렉터리(상위 디렉터리) : 서브 디렉터리 위에 자신을 포함하고 있는 디렉터리 ('..' 으로 표시)
- 루트 디렉터리를 제외하고 모든 디렉터리에는 부모 디렉터리가 있음

루트 디렉터리와 서브 디렉터리
- 디렉터리 이름의 끝에 붙은 /는 해당 파일이 디렉터리임을, @(앳)은 심볼릭 링크를 의미
[user1@localhost ~]$ ls -F /
bin@ dev/ home/ lib64@ mnt/ proc/ run/ srv/ tmp/ var/
boot/ etc/ lib@ media/ opt/ / sbin@ sys/ usr/
디렉터리의 주요 기능
디렉터리 | 기능 |
dev | 장치 파일이 담긴 디렉터리다. |
home | 사용자 홈 디렉터리가 생성되는 디렉터리다. |
media | DVD/CD나 USB 같은 외부 장치를 연결(마운트라고 함)하는 디렉터리다. |
opt | 추가 패키지가 설치되는 디렉터리다. |
root | root 계정의 홈 디렉터리다. 루트(/) 디렉터리와 다른 것이므로 혼동하지 않도록 한다. |
sys | 리눅스 커널과 관련된 파일이 있는 디렉터리다. |
usr | 기본 실행 파일과 라이브러리 파일, 헤더 파일 등 많은 파일이 있다. 참고로 usr는 'Unix System Resource'의 약자이다. |
boot | 부팅에 필요한 커널 파일을 가지고 있다. |
etc | 파일 시스템에 문제가 발생하여 복구할 경우, 문제가 되는 파일이 저장되는 디렉터리로 보통은 비어 있다. |
lost+found | 파일 시스템에 문제가 발생하여 복구할 경우, 문제가 되는 파일이 저장되는 디렉터리로 보통은 비어 있다. |
mnt | 파일 시스템을 임시로 마운트하는 디렉터리다. |
proc | 프로세스 정보 등 커널 관련 정보가 저장되는 디렉터리다. |
run | 실행중인 서비스와 관련된 파일이 저장된다. |
srv | FTP나 Web 등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서비스의 데이터가 저장된다. |
tmp | 시스템 사용 중에 발생하는 임시 데이터가 저장된다. 이 디렉터리에 있는 파일은 재시작하면 모두 삭제된다. |
var | 시스템 운영 중에 발생하는 데이터나 로그 등 내용이 자주 바뀌는 파일이 주로 저장된다. |
작업 디렉터리
- 현재 사용 중인 디렉터리
- 현재 디렉터리라고도 함
- .(마침표)로 표시하며, 작업 디렉터리의 위치는 pwd명령으로 확인 할 수 있음
홈 디렉터리
- 각 사용자에게 할당된 디렉터리로 처음 사용자 계정을 만들 때 지정
- 사용자는 자신의 홈 디렉터리 아래에 파일이나 서브 디렉터리를 생성하며 작업할 수 있음
- ~(물결표)로 표시 ex) user1 계정의 홈 디렉터리를 나타내면 '~user1'
'리눅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눅스 명령어 (0) | 2023.02.21 |
---|---|
Ubuntu에 apache, openSSH 서비스 설치 (0) | 2023.02.21 |
Linux 01 (0) | 2023.01.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