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

조건문

I_eve 2023. 2. 23. 01:49

제어문(control flow statements)

C 프로그램은 절차적 프로그램 또는 명령어 프로그램에 속한다.

수많은 명령문이 포함되어 있으며, 이 명령문은 처음부터 끝까지 순서대로 실행된다.

원하는 결과를 얻기 위해서는 이러한 순차적인 흐름을 제어해야만 한다.

이때 사용하는 명령문을 제어문이라고 하며, 이러한 제어문에는 조건문, 반복문 등이 있다.

제어문에 속하는 명령문들은 중괄호로 둘러싸여 있으며, 이러한 중괄호 영역을 블록(block)이라고 한다.

 

조건문(conditional statements)

주어진 조건식의 결과에 따라 별도의 명령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명령문

C언어에서 사용하는 조건문의 형태는

1. if 문

2. if / else 문

3. if / else if / else 문

4. switch 문

if 문

조건식의 결과가 true면 주어진 명령문을 실행하며, false면 아무것도 실행하지 않는다.

if문의 순서도

if 문의 문법
if (조건식) 
{
    조건식의 결과가 참일 때 실행하고자 하는 명령문;
}

코드에서 블록에 속한 명령문은 중괄호를 기준으로 오른쪽으로 들여쓰기가 되어있다.

들여쓰기를 통해 코드의 가독성을 높이는 것을 인덴트(indent)라고 하며, 될 수 있으면 모든 코드를 인덴트하는 것이 좋다.

if / else 문

if문과 함께 사용하는 else문은 if문과는 반대로 주어진 조건식의 결과가 false면 주어진 명령문을 실행한다.

if / else문의 순서도

if (조건식) 
{
    조건식의 결과가 참일 때 실행하고자 하는 명령문;
} 
else 
{
    조건식의 결과가 거짓일 때 실행하고자 하는 명령문;
}

if / else if / else 문

else if문은 if문처럼 조건식을 가질 수 있기 때문에 중첩된 if문을 좀 더 간결하게 표현할 수 있도록 해준다.

하나의 조건문 안에서 if문과 else문은 단 한번만 사용될 수 있다.

하지만 esle if문은 여러 번 사용될 수 있어서 복잡한 조건도 표현할 수 있다.

if / else if / else문 순서도

if (조건식1) 
{
    조건식1의 결과가 참일 때 실행하고자 하는 명령문;
} 
else if (조건식2) 
{
    조건식2의 결과가 참일 때 실행하고자 하는 명령문;
} 
else 
{
    조건식1의 결과도 거짓이고, 조건식2의 결과도 거짓일 때 실행하고자 하는 명령문;
}

삼항 연산자에 의한 조건문

C언어에서는 if / else 문을 삼항 연산자를 이용하여 간단히 표현할 수 있다.

조건식 ? 반환값1 : 반환값2

조건식을 비교하여 true면 반환값1을 false면 반환값2를 출력한다.

switch 문

if / else문과 마찬가지로 주어진 조건 값의 결과에 따라 프로그램이 다른 명령을 수행하도록 하는 조건문

switch문은 if / else 문보다 가독성이 더 좋으며, 컴파일러가 최적화를 쉽게 할 수 있어 속도 또한 빠른 편이다.

하지만 switch문의 조건 값으로는 int형으로 승격할 수 있는(integer promotion) 값만이 사용될 수 있다.

즉, C언어에서는 char형, short형, int형 변수나 리터럴과 나중에 배우게 될 열거체까지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if / else문 보다는 사용할 수 있는 상황이 적은 편이다.

switch (조건 값) 
{
    case 값1:
        조건 값이 값1일 때 실행하고자 하는 명령문;
        break;
    case 값2:
        조건 값이 값2일 때 실행하고자 하는 명령문;
        break;
    default:
        조건 값이 어떠한 case 절에도 해당하지 않을 때 실행하고자 하는 명령문;
        break;
}

각 case 및 default 절은 반드시 break 키워드를 포함하고 있어야 한다.

break 키워드는 조건 값에 해당하는 case 절이나 default 절이 실행된 뒤에 전체 switch문을 빠져나가게 해준다.

만약 break가 없다면 조건에 해당하는 switch문의 case절 이후의 모든 case절이 전부 실행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