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분류 전체보기 (30)
imgusdn
제목을 나타내는 는 제목을 뜻하는 heading을 줄인 말로 n의 자리에는 1~6의 숫자가 들어가며 제목 텍스트를 크기별로 표시할 수 있다. 이 가장 큰 제목이고 , ... 의 순서로 크기가 작아진다. 닫는 태그인 을 반드시 사용해야 한다. 태그는 텍스트의 폰트(font), 색상 그리고 크기를 정의할 때 사용한다. html5에서는 더이상 지원하지 않으며, 대신 css를 사용해야한다. 텍스트 내의 줄바꿈(line-break)를 정의할 때 사용한다. HTML 소스 코드 내에서는 엔터(Enter)를 사용하여 줄바꿈을 실시하여도 브라우저 화면에 실제로 적용되지는 않는다. 따라서 요소는 주소(address)나 시(poem)등 줄바꿈이 중요한 텍스트에 유용하게 사용된다. 요소는 빈 태그(empty)로, 종료태그가 ..

현재 문서가 HTML5언어로 작성한 웹 문서라는 뜻이다. 웹 문서의 시작과 끝을 나타내는 태그다. 웹 브라우저가 태그를 만나면 까지 소스를 읽어 화면에 표시한다. lang속성으로 문서에서 사용할 언어를 지정할 수 있다. 검색 사이트에서 특정 언어로 제한해 검색할 때 필요하기 때문에 html 태그에서 언어를 표시한다. ko는 korea의 줄임이다. 예를들어 검색 결과 중에서 '한국어로 된 문서'로 범위를 제한할 경우 인 문서를 우선 검색한다. 또한 화면 낭독기에서 웹 문서를 소리 내어 읽어 줄 때 해당 언어에 맞추어 발음이나 억양,목소리 등을 다르게 할 수 있다. 웹 브라우저가 웹 문서를 해석하는 데 필요한 정보를 입력하는 부분이다. 웹 문서의 제목을 말한다. 실제로 웹 브라우저 화면에 나타나는 내용이다.
HTTP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는 하이퍼 텍스트 전송 프로토콜으로 간단히 말해서 인터넷을 작동시키는 역할을 하며, 웹 서버 및 웹 브라우저 상호 간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응용계층 프로토콜이다. 웹 사이트에 액세스하기 위해서는 프로토콜 변형이 필요한데, 이때 웹 사이트 URL이 일반적으로 ""http://www.."로 시작하며 URL에 해당하는 웹 페이지를 가져오기 위해 웹 사이트 서버에 명령을 보내 작동하게 된다. HTTPS HTTPS(Hypertext Transfer Protocol Secure)는 하이퍼 텍스트 전송 프로토콜 보안으로 표준 HTTP와 동일한 방식으로 작동한다. 서버와 주고받는 데이터가 암호화되기 때문에 웹사이트에 추가적인 보호를 제공한다. 즉, 개..

제어문(control flow statements) C 프로그램은 절차적 프로그램 또는 명령어 프로그램에 속한다. 수많은 명령문이 포함되어 있으며, 이 명령문은 처음부터 끝까지 순서대로 실행된다. 원하는 결과를 얻기 위해서는 이러한 순차적인 흐름을 제어해야만 한다. 이때 사용하는 명령문을 제어문이라고 하며, 이러한 제어문에는 조건문, 반복문 등이 있다. 제어문에 속하는 명령문들은 중괄호로 둘러싸여 있으며, 이러한 중괄호 영역을 블록(block)이라고 한다. 조건문(conditional statements) 주어진 조건식의 결과에 따라 별도의 명령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명령문 C언어에서 사용하는 조건문의 형태는 1. if 문 2. if / else 문 3. if / else if / else 문 4. sw..
연산이란 우리가 어릴 때 배우는 더하기,빼기,곱하기,나누기 같은 계산을 의미 여기서 +, -, *, /와 같은 기호를 연산자(operator)라고 한다. C언어를 포함하여 여러 프로그래밍 언어에서는 다양한 연산자를 제공한다. 변수와 상수 그리고 연산자를 사용하여 하나의 수식을 만들기도 하고, 프로그래밍 문장 한 줄을 구성하기도 한다. 대입 또는 할당 연산자 = 컴퓨터 과학에서 a=3은 "a는 3이다. a는 3과 같다"라는 수학적인 관점이 아닌 '3을 a에 넣는다' 또는 '3을 a에 대입한다' 또는 '3을 a에 할당한다'라는 의미다. = 연산자는 '같다'가 아닌 '대입 또는 할당'을 의미한다. 대입 연산자의 특징 a = 3;// 상수를 변수에 대입할 수 있다. a = b;// 변수를 변수에 대입할 수도 있..

c언어에서는 기억장치에 저장되는 파일을 다루는 것과 마찬가지 방식으로 입출력 장치를 다룬다. 따라서 키보드, 모니터와 같은 대부분의 콘솔 장치도 c프로그램에서는 자동으로 열리는 파일처럼 다뤄진다. stdin 표준 스트림을 통해 입력 장치를 다루며, stdout 표준 스트림을 통해 출력 장치를 다루게 된다. 스트림(stream) c 프로그램은 파일이나 콘솔의 입출력을 직접 다루지 않고, 스트림(stream)이라는 것을 통해 다룬다. 스트림이란 실제의 입력이나 출력이 표현된 데이터의 이상화된 흐름을 의미 즉, 스트림은 운영체제에 의해 생성되는 가상의 연결 고리를 의미 C언어에서 파일과의 연결을 위한 스트림은 사용자가 직접 생성하고 소멸시켜야 한다. 하지만 콘솔 장치에 대한 스트림은 프로그램 실행시 자동으로 ..
변수(variable) 데이터(data)를 저장하기 위해 프로그램에 의해 이름을 할당받은 메모리 공간을 의미 변수란 데이터(data)를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 공간을 의미하며, 저장된 값은 변경될 수 있다. 정수형 변수와 실수형 변수로 구분할 수 있는데, 정수형 변수는 char형, int형, long형 실수형 변수는 float형, double형으로 나눌 수 있다. 데이터가 저장된 메모리의 주소를 저장하고 처리하는 포인터변수, 관련된 정보를 한 번에 묶어서 처리하는 사용자 정의 구조체 변수도 있다. 변수 이름 생성 규칙 1. 변수의 이름은(대소문자), 숫자, 언더스코어(_)로만 구성 2. 변수의 이름은 숫자로 시작될 수 없다. 3. 변수의 이름 사이에는 공백을 포함할 수 없다. 4. 변수의 이름으로 C언어..
공인 IP (Public IP) 외부에 공개되어 있는 IP ISP(인터넷 서비스 공급자)를 통해 제공 받는다. ICANN 기관에서 국가 별로 사용할 IP 대역을 관리하고 있으며, KR, SKB, LG 등에서 IP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외부에 공개되어 있기 때문에 인터넷에 연결된 다른 컴퓨터에서 접근이 가능하며, 해킹의 위험이 있기 때문에 보안 프로그램을 설치해야 한다. 사설 IP (Private IP) 로컬 IP, 가상 IP 라고도 불리며, 외부에서 접근할 수 없는 IP를 의미한다. 일반 가정이나 회사 내부에서 사용할 목적으로 할당된 IP주소이며, 공인 IP가 할당된 라우터나 공유기를 통해 로컬 네트워크에 연결된 기기에 사설 IP가 할당된다. 사설 IP를 사용하면 IPv4 주소의 부족을 어느정도 해결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