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분류 전체보기 (30)
imgusdn

1. which 명령어의 경로를 확인하는 명령어 명령어 위치를 찾아주거나 alias를 보여주는 명령어 사용자가 현재 위치에서 명령을 실행시켰을 때 어떤 명령이 실행되는지를 알고 확인할 수 있다. $PATH가 설정되어 있는 경로에서만 해당 명령어의 경로를 찾는다. which 명령어 명령어 find, ls의 위치를 확인한다. 2. alias 자주 사용하는 명령어를 특정 문자로 입력해 두고 명령어 대신 해당 문자를 사용할 수 있게 하는 명령어 alias 별명='명령어' 명령어 'ls -al | more'를 문자 'm'으로 단축시킨다. 3. unalias alias 기능을 해제한다. unalias 옵션 단축명령어 옵션 -a 설정된 모든 alias 해제 단축 명령어 'm'을 더 이상 사용하지 않는다. 4.user..

ipconfig란 internet protocol configuration을 줄인 명령어로 윈도우에서 사용되는 콘솔 프로그램 (터미널,명령프롬프트)에서 현재 컴퓨터의 TCP/IP 네트워크 설정값을 표시하는데 이용한다. DHCP와 DNS 설정을 확인하거나 갱신하는데 사용되기도 한다. 이더넷 어댑터는 LAN카드(NIC)를 의미한다. 이더넷이란 LAN 근거리 통신망 영역에서 사용하는 통신 기술로 ipconfig 명령을 했을때 나타나는 이더넷 어댑터 이더넷은 내 컴퓨터 NIC의 정보를 나타낸다. DNS는 domain name system으로 www.naver.com이라는 홈페이지 도메인 네임이 있으면 그 도메인 서버에 연결시켜주는 서버IP를 뜻한다. 연결별 DNS 접미사는 자신이 사용할 DNS 서버를 입력하면 ..

1. 아파치 서버 설치 $ sudo apt-get update $ sudo apt-get install apache2 아파치를 설치하게 되면 확인 문구가 뜨는데 y를 누르고 진행 /etc/init.d 라는 디렉토리는 daemon 프로그램들이 있는 디렉토리로 apache2가 설치된 것을 ls 명령어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daemon 프로그램이란 background 상태에서 장시간 돌아가는 프로그램을 말한다. daemon 파일들을 키고 끄는건 터미널에서 service 데몬프로그램명 start 또는 stop으로 중단할 수 있다. 아파치 서버 시작하기 $ service apache2 start $ ps aux | grep apache2 apache2 서버를 start한 후 pas aux | grep apac..

파일의 종류 파일 관련 있는 정보들의 집합 리눅스는 파일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디렉터리를 사용 파일 시스템 : 디렉터리와 파일로 구성된 전체 집합 리눅스에서 파일은 사용 목적에 따라 일반 파일, 디렉터리, 심볼릭 링크, 장치 파일로 구분 일반파일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 주로 사용 리눅스에서 사용하는 대부분의 파일은 일반 파일에 해당 바이너리 파일 : 실행 파일이나 이미지 파일의 경우 바이너리 형태로 데이터가 저장되어 사용 디렉터리 리눅스에서는 디렉터리도 파일로 취급 디렉터리 파일에는 해당 디렉터리에 저장된 파일이나 하위 디렉터리에 대한 정보가 저장 심볼릭 링크 원본 파일을 대신하여 다른 이름으로 파일명을 지정한 것(윈도의 바로 가기와 유사) 장치 파일 리눅스 시스템에 부착된 장치들을 관리하기 위한 특..
Linux 개요 1. Operating System - 컴퓨터의 Hardware와 다른 응용프로그램들을 제어, 관리하는 역할을 하는 System Software - 운영 체제의 목적 사용자가 프로그램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환경 제공 자원을 최대한 공정하고 효율적으로 프로세스에 할당 올바르지 않은 자원의 낭비를 막기 위해 프로세스 관리, 입출력 장치 제어 - 운영 체제의 역할 프로세스 관리(프로세스 생성, 삭제, 중단 및 재개) 메모리 관리(메모리 할당 여부 감시, 프로세스의 메모리 할당 및 해제) 2차 기억장치 관리(저장 장치 할당, 디스크 스케줄링) - 운영 체제의 종류 Unix, Linux, Windows, MAC OS 등 2. Linux 소개 - Linus Torvalds(리누즈 토발즈)가 L..
Routing Protocol은 라우터 간 통신 방식을 규정하는 통신 규약이다. 라우팅은 OSI 계층의 3계층에 해당하며 패킷의 경로를 결정하기 위해 라우터간 경로정보를 교환하는 작업이다. 이러한 정보를 교환하기 위해 사용하는 프로토콜이 Routing Protocol이다. Routing Protocol의 종류 정적 라우팅 프로토콜(Static Routing Protocol) : 관리자가 직접적으로 목적지 네트워크의 정보를 입력하는 프로토콜 장점 1. 사람이 직접 경로를 정해주면 Router는 그 경로를 따라 패킷을 전송하면 되기 때문에 CPU가 Best Path를 찾기 위한 계산을 하지 않아 Routing 속도가 빨라지고 메모리도 적게 사용한다.(성능이 좋아짐) 2. 자신의 정보를 외부로 전송하지 않아 ..